LED 전등을 교체하고 나면 불을 껐는데도 불구하고 완전히 꺼지지 않는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 여러 가지 대처 방법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두 전선의 위치를 바꾸거나 콘덴서를 구입해 병렬로 연결시킵니다. 하지만 어떠한 원리로 잔광이 발생하고 없어지는지는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잔광을 없애기만 하면 그만이다 라는 생각으로 업무에 임하는 것이 아닌, 어떠한 원리로 해결이 되는지 알게 된다면 좀 더 많은 것을 보게 되는 눈이 생길 것입니다. 목차 잔광현상의 원인 3가지 잔광이 없어지는 원리 잔광현상의 원인 3가지 잔광이 발생하는 경우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스위치를 소등해도 스위치 자체에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입니다. 주로 리모컨과 연동되어 있는 스위치와 스위치를 꺼도 스위치 자체에 불이..
한전에서 송전이 끊기면 부족전압계전기(UVR)가 작동하여 정전이 되어버립니다. 부족전압계전기(UVR)의 원리와 사용법을 숙지해야 정전발생 시 당황하지 않고 수변전 설비를 복귀시킬 수 있습니다. 신축건물의 경우 계전기들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방식이지만 오늘은 아날로그 식 유도원판 계전기를 토대로 설명하겠습니다. 목차 부족전압계전기(UVR) 의 설명 부족전압계전기(UVR) 의 현장사진 부족전압계전기(UVR) 의 결선 부족전압계전기(UVR)의 설명 계전기라고 하는 것은 릴레이의 한국말입니다. 전류가 흐르면 작동하는 방식의 계전기는 일상생활 속에서도 많이 쓰입니다. 여기서 부족전압계전기(UVR)는 한전으로부터 받는 22.9kv에서 낮은 전압이 감지되면 진공차단기를 트립시킵니다. 위 사진을 보면 알수..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화재감지기, 없어서는 안 되지만 오작동을 일으키면 아주 난처한 상황을 만들곤 합니다. 감지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지 못하면 고장을 찾아내기도 힘들고, 감지기가 작동했을 때 대처가 미흡해져 더더욱 난처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 감지기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어떤 환경에 있느냐에 따라 설치되는 감지기는 제각각입니다.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감지기는 정온식 감지기, 광전식감지기, 차동식감지기로 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온식 감지기차동식 감지기광전식 감지기감지기 배선 정온식 감지기 이해하기 정온식 감지기는 주로 주방, 보일러실에 설치됩니다.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작동을 하게 되는데, 보일러 ,실외기 실에 문을 닫아놓고 에어..
수도를 공급하는 급수펌프가 고장 나면 참으로 난처합니다. 신축 건물의 수도 공급은 오로지 급수펌프로 인해 이루어지는데 급수펌프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작성자의 근무지를 중점적으로 글이 제작되었으므로 타 설비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목차 급수설비의 구성정수위밸브수위조절레벨 센서압력탱크급수펌프 급수설비의 구성 급수설비의 구조는 크게 4가지로 구성됩니다. 급수펌프, 압력탱크, 저수조, 정수위 밸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자만의 역할이 존재하고, 하나라도 고장 날 시 대형사고 또는 매우 난처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수자원공사로 부터 공급을 받으면 메인수도계량기(생략)를 거친 후 정수위밸브에서 수위를 유지합니다. 저수조 상부에 설치된 수위센서..
전류를 흘려서 회전자가 움직이면 전동기, 회전자를 돌려서 전류가 흐르면 발전기,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은 발전기의 원리를 알 수 있는 법칙입니다. 플레밍의 오른손법칙을 통해 전기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알아보고 , 스스로를 직접 가르쳐본다면 실무에서도 아는만큼 보일 것입니다. 목차 힘을 주니 전류가 생기다기전력의 생기는 이유발전기의 원리 힘을 주니 전류가 발생한다. 먼저 렌쯔의 법칙을 보겠습니다. 코일을 감아서 그 속으로 자석을 왔다 갔다 했더니 전류가 발생하는 원리가 렌츠의 법칙입니다. 여기서 자석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전류의 방향도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렌츠의 법칙이 궁금하시다면 렌츠의 법칙 10분 만에 이해하기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은 반대로 자석..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