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에서는 전압만큼 전류도 매우 중요합니다. 전기가 흐르지 못하면 아무 쓸모가 없기 때문입니다. CT는 한전에서 보내준 높은 전류를 설비를 이용해 "측정"을 하고 과전류가 발생 시 계전기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해 줍니다. 설비를 보호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CT는 매우 중요한 설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목차 CT 의 정의 CT의 현장사진 과 결선도 CT 의 원리 CT 비 구하기 CT 는 단락하라 CT 설명하기 Current(전류) Transformer(변환) 계기용변류기(CT) 는 전류를 바꾸는 변류기입니다. 높은 전류를 낮은 전류로 변류시켜야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변압기인 PT와 원리는 비슷하나 결선방식은 다르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류는 어떻게 측정이 되는지 알아야합니다. 전류는 ..
자동차 운전을 할 때 가장 많이 보게 되는 것은 전방 그리고 계기판입니다. 여기서 계기판의 모양을 한번 떠올려 보세요. 계기용 변압기도 이와 같은 개념입니다. 지금 전압이 몇 볼트인지 전력은 얼마인지 등등 지침을 확인하는 게 자동차 계기판을 보는 것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기기사 실기준비를 하면 수도 없이 읽게 되는 계기용 변압기 PT입니다. 하지만 글과 책으로 보는 것과 실물로 보는 것은 괴리감이 있습니다. 오늘은 도면에서나 보던 PT가 아닌 실무에서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계기용변압기(PT) 는 무엇인가 ? 현장사진을 보면서 PT 의 원리(결선도) 직접 설명해보기 Potential(전압) or Voltage(전압) Transfomer(변압기) 발전소에서 전기를 ..
한전에서 받은 전기를 수치화시켜 요금을 부과하기 위해 만들어진 MOF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요? 전기 공부를 하다 보면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설비 중 하나이지만, 누군가 "MOF 가 뭐야?"라고 물어보면 딱히 뭐라 말해줘야 될지 막막합니다. 오늘은 MOF를 공부해보고 직접 스스로에게 가르쳐 봄으로서 내 것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목차 MOF 는 이런 설비입니다. MOF 의 실제 현장사진을 보면서 MOF 내부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키워드를 보고 직접 설명해봐요 Metering(측정해서) Out(밖으로 내보낸다) Fit(알맞게) 전기기사 실기에서 많이 그려본 네모난 상자안에 적힌 MOF라는 세 글자, 하지만 실제로 보면 공부할 때와 괴리감이 많이 들게 생겼습니다. (사진 하단 참조) MOF의 명칭은 전..
전기 자격증을 취득하고 실무를 하게 되면 어디선가 본거 같은 설비들이 보입니다. LBS는 실기 공부할 때 많이 들어보고 암기해본 부하개폐기입니다. 하지만 상사나 후배가 물어보면 논리적으로 말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지금부터 글을 읽어보시고 "이해"를 하신 다음 직접 입으로 스스로를 가르쳐 보시면 나만의 지식이 될 수 있습니다. (단, 해당 포스팅은 작성자 근무처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 LBS(부하개폐기) 의 정의 ▷ LBS(부하개폐기)의 기능과 실제 역할 ▷LBS(부하개폐기)의 구성과 구조 ▷ 직접 말하는 방법 LBS 하중(Load)을 멈추게(Breaking) 하는 스위치(Swich) 사람이 음식을 먹기 위해선 제일 먼저 입을 벌려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오는 전기를 받기 위해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