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안전공사와 일정을 잡은 후 전기직무고시를 진행하였습니다. 정전부터 복전까지 모두 전기안전관리자가 진행해야 하며, 전기안전공사에서는 옆에서 설명을 해줍니다. 예전엔 모든 작업을 전기안전공사에서 다 진행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정전을 하고 복전시 통신장비나 저압설비들 고장이 자주 발생하다 보니 전기안전공사에서 새로운 규정을 만든 게 아닐까 합니다. 법적으로 수용가의 설비를 점검하기 위해 정전을 하는 것인데 복전만 하면 이리저리 고장이 터지니 그 모든것을 전기안전공사에서 책임지는 건 어불성설이 아닐까 합니다. 따라서 전기안전관리자가 더 많이 공부를 해야 하고 알아야 할 것도 많아졌음을 의미합니다. 아래의 산업통상자원부의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 자료를 한번 읽어보시는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차 전기안전공..
방에 전등을 켜고 끌 때 스위치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공장이나 도로에 있는 가로등처럼 소비전력이 높은 전등을 한 번에 키면 스위치는 타버리거나 고장이 납니다. 또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를 차단기로 온 오프 하면 차단기가 트립되거나 불이 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전기가 서로 연결될 때, 부하의용량이 크면 클수록 강한 에너지가 발생합니다. 전자접촉기는 그 강한 에너지를 버텨줌으로써 전기설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자접촉기(MC)에 관한 설명을 글을 천천히 읽고 이해해 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마그네틱 콘텍터(MC) 전자접촉기(MC)의 구조와 작동방식 자기유지회로의 이해 (M)마그네틱 (C)콘텍터 위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대전류를 사용하는 모터와 수십 개의 가로등점등 회로에는 전자접촉기 ..
전등 스위치 결선도는 원리만 알면 아주 쉽지만, 처음 접하면 여러 개의 전선들로 혼란스럽기 마련입니다. 이번엔 시간엔 전등 스위치의 결선도를 배워보고 가능하면 내 집 스위치를 직접 바꿔보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목차 1구2구 3구 4구 스위치 배선이해 1구 2구 스위치 배선이해 전등 차단기 우선 스위치의 배선을 이해하기 전에 차단기의 배선을 보고 가야합니다. 빨간색 선과 흰색 선이 두 가닥이 전등차단기에 연결됩니다. 여기서 빨간 선인 핫라인은 전류를 보내주는 선이며 흰색선은 보내준 전류가 되돌아오는 선입니다. 여기서 보내주는 전선인 핫라인이 스위치로 갑니다. 1구 스위치 1구 스위치의 배선입니다. 가장 설치하기도 쉽고 이해하기도 쉽습니다. 1구 스위치를 이해해야 4구 까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모든 시설물의 분전함 판넬은 조심히 다루어야 하지만, 특히 상업용 건물(상가, 병원 등)의 분전함은 특히 더 조심해야 합니다. 순간의 실수가 엄청난 피해보상과 타인의 생계와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중 하나가 전기기술자들의 중성선 사고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중성선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단순히 220V에 쓰이는 전선이 아니라 순간의 실수가 어떠한 원리로 큰 사고를 불러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중성선은 선입후절 전압불평형 중성선은 선입후절 아래사진의 분전함 3상 4 선식 차단기를 보면 육안으로는 차단기를 그냥 올리고 내리는 것으로 밖에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차단기가 투입될 때 제일 끝에 있는 중성선이 먼저 투입되도록 설계 됐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반대로 차단을 할 땐 중성선이 마지막..
임피던스, 리액턴스, 인덕터 · · · · · · · 등 전기의 용어는 비슷비슷하면서 한번 배워도 까먹기 일쑤입니다. 이번 시간엔 임피던스가 무엇인지 배워보고 외우는게 아닌 이해하는 방식으로 접근해 보길 바랍니다. 또한 스스로를 가르치는 시간을 가져보신다면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목차 교류에선 저항이라 부르지 않는다. 직류와 교류의 이해 임피던스의 일부 리액턴스 교류에선 저항이라 부르지 않는다. 임피던스의 뜻은 방해하다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에는 분명 저항이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왜 임피던스라는 단어가 따로 있는걸까요 ? 그 이유는 임피던스가 교류에서만 사용되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자동차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경주용 도로에서는 방해요소가 별로 없습니다. 그저 자동차가 굴러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