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부를 하면 단상과 3상을 듣다 듣다 너무 헷갈려서 결국 과년도 문제를 외워버리곤 합니다. 분명 이해를 하고 넘어갔는데 또 까먹고 √3 (루트3) 이 왜 나왔다 사라지는지 조차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현장에 계시다면 단상과 3상에서 √3 (루트3) 이 왜 나오는지 물어보세요. 제대로 설명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전기자격증으로 취득하고 전기를 업으로 하실거면 단상과 3상의 차이는 반드시 내 입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암기 아닌 학습을 하시고 직접 스스로를 가르쳐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목차 3가지의 면상 단상 전력은 3상 전력은 내가 사는 집에는 단상이 들어온다. 3가지의 면상 얼굴이 울상이네 , 웃는 상이네 , 죽을상이네 면상좀 보자 라는 말을 할 때의 상은 서로 상(相) 자 입니..
사람은 1A의 20분의 1 수준인 0.05A (50mA) 만으로도 사망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코트를 입을 때 따끔거리는 전압이 3천(V)을 넘어가는데 비하면 사람이 죽는 건 전압보다 전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누전차단기를 설치해 미세한 전류라도 절대로 새나가지 않게 하는 것이고 , 오로지 인명사고 , 전기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됩니다. 목차 누전차단기란 ? 누전차단기의 원리 누전차단기 명판 보는법 배선용차단기와 의 차이점 구축방식과 신축방식 누전 차단기(ELB) 는 무엇인가 E : Earth (땅) L : Leakage (누출) B : circuit Breaker (차단기) 예를 들어 우리 집에 물이 새고 있습니다. 하필 화장실에서 새면 좋을 것을 안방에서 물이 샙니다. 근데 물이 터진 곳은..
변압기의 원리는 생각보다 엄청 단순합니다. 하지만 직접 설명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오늘은 변압기가 어떻게 작동되는지 알아보고 직접 설명해보는 시간을 가져봄으로써 전기기사 자격 취득 , 면접 , 현장업무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변압기는 무엇인가 변압기의 원리를 알기전에 변압기 원리 현장사진 설명 해보는 시간 변압기(Transfomer) 란 무엇인가 전류(I)를 바꿔주는 것도 , 전력(P)을 바꿔주는 것도 아닌 말그대로 전압을 바꿔주는 것이 변압기 입니다. 여기 까진 누구나 다 아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왜 하필 전압만 바꿔주는 것일 까요? 변류기나 변력기는 사용 할 수 없는 걸까요 ? 그 이유는 전압을 변압(승압)해야 전기를 멀리 보낼 수 있고 다시 변압(강압)해야 내가 사는집에 220V가 들어..
교류 전기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손전등의 건전지를 거꾸로 끼우면 불이 들어오질 않습니다. 그건 배터리가 직류이며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교류전기는 어떤 방향으로 연결해도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선풍기 콘센트를 어떤 방향으로 꽂아도 작동되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패러데이법칙은 바로 그 교류 전기의 크기를 증명한 법칙입니다.패러데이는 교류의 크기(패크) , 렌쯔는 교류의 방향(렌방)이렇게 외우시면 전기기사 필기 준비하시는 분들은 과년도 문제 대부분을 맞출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 30초 렌츠의법칙 교류전기가 만들어지다. 패러데이법칙 왜 알아야하는가 ? 변압기와 발전기의 원리 30초 렌쯔의 법칙 렌쯔의 법칙과 패러데이의 법칙이 생각보다 헷갈릴 것입니다. 렌쯔의 법칙은 코일에 자석을..
뉴스에서 흔히 감전사고를 종종 접하곤 합니다. 감전이 됐을 때 도체로부터 몸을 떼어내면 되는데 자기장의 힘으로 인해 그러지 못합니다. 즉 전기가 흐른다는 건 자기장(자석의 힘)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오늘은 앙페르의 오른손 법칙을 통해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의 흐름과 이 법칙이 왜 중요한지 알고 넘어가시길 바랍니다. 목차 전류가 흐르는데 자석의 힘이 ? 도선에 가까워 질수록 강한 자기장 철심에 도선을 감게되면 바뀌는 것 전류가 흐르는데 자석의 힘이 ? 도선에 전류를 흘렸더니 나침반이 이동하는 것을 보고 자기장의 방향을 알게 된 것이 앙페르의 오른손 법칙입니다. 오른나사 법칙이라고도 하며, 원리는 매우 간단합니다. 앙페르의 오른손 법칙은 오른손만으로 전류의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전기를 사용하고자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을 때 우리는 방향에 상관없이 그냥 꽂아서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시간에 따라 전류의 방향이 변하는 교류 전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어째서 교류전류는 방향이 변하는지 렌츠의 법칙을 통해 알아보고 스스로 설명해보는 시간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유도기전력의 방향은 자속의 증감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정의가 참 어렵습니다. 대충 코일에 자석을 넣었다 뺐다 하는 것 까진 자주 봤지만 무슨 말인지 모르겠으니 좀 더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유도기전력의 방향은 (어떤 무언가로 의해 만들어진 전류의 방향은) 자속의 증감을 (자석이 움직이며 발생하는 자속이 생기고 없어지고) 방해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그 자속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유도기전력이 발생한다.) 코일을..
전기에서는 전압만큼 전류도 매우 중요합니다. 전기가 흐르지 못하면 아무 쓸모가 없기 때문입니다. CT는 한전에서 보내준 높은 전류를 설비를 이용해 "측정"을 하고 과전류가 발생 시 계전기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해 줍니다. 설비를 보호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CT는 매우 중요한 설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목차 CT 의 정의 CT의 현장사진 과 결선도 CT 의 원리 CT 비 구하기 CT 는 단락하라 CT 설명하기 Current(전류) Transformer(변환) 계기용변류기(CT) 는 전류를 바꾸는 변류기입니다. 높은 전류를 낮은 전류로 변류시켜야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변압기인 PT와 원리는 비슷하나 결선방식은 다르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류는 어떻게 측정이 되는지 알아야합니다. 전류는 ..
자동차 운전을 할 때 가장 많이 보게 되는 것은 전방 그리고 계기판입니다. 여기서 계기판의 모양을 한번 떠올려 보세요. 계기용 변압기도 이와 같은 개념입니다. 지금 전압이 몇 볼트인지 전력은 얼마인지 등등 지침을 확인하는 게 자동차 계기판을 보는 것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기기사 실기준비를 하면 수도 없이 읽게 되는 계기용 변압기 PT입니다. 하지만 글과 책으로 보는 것과 실물로 보는 것은 괴리감이 있습니다. 오늘은 도면에서나 보던 PT가 아닌 실무에서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계기용변압기(PT) 는 무엇인가 ? 현장사진을 보면서 PT 의 원리(결선도) 직접 설명해보기 Potential(전압) or Voltage(전압) Transfomer(변압기) 발전소에서 전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