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기 단선찾기 10분만에 이해하기

 

감지기 회로는 면적이 좁은 곳에 단선신호가 뜨면 찾기가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막무가내로 하나하나 다 열어본다고 해도 2 시간채 걸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하주차장처럼 수백 개의 감지기가 자리 잡고 있는 곳에 감지기 단선신호가 뜨면 앞이 깜깜해집니다. 

 

 

하지만 넓은면적의 감지기 단선을 찾을 줄 알면 좁은 면적의 감지기 단선은 아주 쉽게 찾을 수 있는 능력이 생길 것입니다. 감지기 단선을 찾아가는 과정을 익혀보시고 가능하면 스스로 단선을 가정하고 찾아나가는 연습도 꼭 해보시길 바랍니다. ( R형수신기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화재감지기의 기본설명은 아래를 참고 해주세요

 

화재감지기 10분만에 이해하기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화재감지기, 없어서는 안 되지만 오작동을 일으키면 아주 난처한 상황을 만들곤 합니다. 감지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지 못하면 고장을 찾아내기도 힘들고, 감지기가 작

yong1704.tistory.com

 

 

 

 

 

 

 

 

 

 

 목차

 

 

  • 수신기 단선표시
  • 회로통전테스트 및 전압측정
  • 반토막 내기

 

 

 

 

 수신기 단선 표시

 

 

 

지하주차장에서 감지기 단선신호가 발생했습니다. 위 사진의 SVP감지기 A의 뜻은 슈퍼비조리판넬  약자로써 지하에서 불이 났을 때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기 A의 회로입니다. 일명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입니다. 

 

 

여기서 A와 B감지기 회로가 있는 이유는 넓은 지역에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선 각기 다른 감지기가 동시에 화재를 감지를 해야 좀 더 정확한 화재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감지기 A B 회로가 동시에 오작동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화재가 아닌 이상 그럴 가능성은 희박하므로 두 개의 회로로 수백 개의 감지기가 ABAB 방식으로 번갈아가며 설치되어 있습니다.

 

 

먼저 71번 중계기라고 되어있으니 71번 숫자가 적힌 중계기를 찾아야 합니다. 만약 중계기에 번호나 어떠한 표시가 없다면 지하의 SVP 판넬에서 중계기 전원을 분리해 수신기에서 고장신호가 뜨는지 여부를 파악하며 찾아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감지기 A와 B 가 작동하여 제어밸브가 열리고 , 물이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차게 되는 스프링클러 설비이다. 평상시에는 스프링클러헤드와 배관에 물이 차있지 않은 건식상태이다. 특정조건을 충족할 때까지 물이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민감한 장비나 중요한 자산이 있는 구역에서 스프링클러 쉽게 작동하지 않기 위해서 설치된다. 

 

 

 

 

 

 

 회로통전테스트 전압측정

 

다행히 중계기에 71번 번호가 수기로 적혀있습니다. 마침 중계기에 점등되어야 할 초록색 불이 희미하게 깜빡거리고 있었습니다. 아래 사진에는 빨간불로 표시했지만 원래는 미세하게 깜빡거리고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전압이 2.8V 밖에 안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즉 단선이긴 하지만 감지기 어딘가 끊어질 듯 말 듯 겨우 전선이 붙어있는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더 자세한 진단을 위해  해당 중계기에서 통전테스트와 전압측정을 먼저 진행해야 합니다.

 

 

수신기에는 감지기 A 단선신호가 떠있지만 빨강 파랑 선이 A 인지 초록 흰색 선이 A 인지 육안으로는 구분하기가 힘듭니다.

 

 

 

 

 

 

 

 

통전테스트를 진행하니 빨강 파랑 선으로 되어있는 감지기가 통전불량으로 부저가 울리지 않고 있었습니다. 중계기에는 미세하게 불이 깜빡거리고 있었지만 회로시험기는 단선으로 인식하고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한가지 알수 있습니다. 빨강 파랑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이 감지기 A 라인이 됩니다. 

 

 

 

 

감지기 말단지점

 

 

 

감지기 출발지점

 

 

이제 감지기 A라인을 알게 되었으니 전압을 측정해 보겠습니다. 그런데 출발점에서 측정된 전압은 22V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말단부(종단저항이 있는 곳)는 2.8V가 나왔습니다. 이것은 확실히 중계기 고장으로 보기가 힘들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만약 중계기 고장이었다면 시작부터 매우 낮은 전압이 측정되었을 것입니다.

 

 

감지기의 결선은 송배선식입니다. 연결은 병렬연결이지만 단선을 쉽게 찾기 위해 갔다가 되돌아오는 직렬과 비슷한 연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22V가 출발을 했으면 적어도 19~22V는 되돌아와야 정상입니다. 직류에서는 전류가 일정하고 전압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22V가 출발하여 2.8V가 되돌아왔다는 것은 어디선가 급격한 전압강하가 이루어졌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도면을 펼치고 수백 개에 달하는 감지기 중의 하나를 찾아야 합니다. 만약 도면이 없다면 중계기에서 가장 가까운 감지기를 찾아나가야 하므로 시간이 꽤나 걸릴것입니다.

 

 

 

 

  • 감지기 라인 이해하기

감지기의 결선은 병렬방식이다. 만약 감지기가 직렬이라면 감지기가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가 없다. 하지만 직렬로 이해하면 쉬워진다. 그 이유는 루프형식으로  갔다가 다시 되돌아오는 송배선식 결선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렬로 이해하면 작업이 편해진다. 

 

 

종단저항이 있는 이유는 만약 종단저항이 없다면 회로가 끊어진 상태가 되어 루프회로를 만들 수 없게 된다. 종단저항을 통해 감지기 라인이 루프회로가 형성이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고 감지기가 단선되었을 때 수신기로 신호를 보내 단선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종단저항은 10KΩ 사용 )

 

 

 

 

 

 

 

 반토막 내기

 

 

도면을 펼치고 출발지점과 되돌아오는 지점을 찾아서 반토막을 내며 찾아나간다면 어느 지점에서 분명 2.8V가 측정 될 것입니다. 분명 중계기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감지기가 출발 또는 되돌아 오는 감지기가 될 것이니 감지기를 뜯어서 전선이 빨간색과 파란색이면 양단을 찍어 직류전압을 측정해 보는 것입니다.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SVP판넬 중계기 71번이 있는 곳입니다. 이곳에서 출발을 해서 A B 감지기가 번갈아 가며 엄청나게 넓은 지역을 한 바퀴 돌아 되돌아온 것입니다. 족히 80개는 넘어 보입니다. 

 

 

 

 

 

이제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을 찾아야 합니다. 감지기는 번갈아가며 A B로 구성되어 있으니 하나를 뜯어서 색깔을 보고 만약 흰색과 초록색이 나온다면 그다음 감지기가 단선되어 있는 빨강 파랑 감지기 라인 일 것입니다.

 

 

SVP 판넬 주변에 있는 감지기를 열어 전압측정을 시작합니다. 그러면 위사진과 같이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제 반토막씩 내어 측정을 시작합니다. 분명 어느 지점에서 22V가 끊기고 2.8V전압이 측정되는 곳이 반드시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반토막씩 내면서 측정을 하다 보니 끝지점에 다다랐을 무렵 2.8V가 측정되는 감지기를 발견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많은 곳을 측정하게끔 작성되었지만 사실은 3군데 정도만 측정하고 찾았습니다. 그곳을 기점으로 다시 반토막을 내면 22V와 2.8V 사이의 감지기를 발견하게 됩니다. 

 

 

 

 

 

반토막씩 내면서 측정결과 2.8V와 22V의 지점을 찾았습니다. 실제 감지기 위치와 도면의 위치는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천천히 잘 따라만 가면 감지기 위치는 아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제 문제가 되는 라인을 육안으로 점검을 해보겠습니다. 오랜 시간 누수로 인한 감지기 라인 접합부가 부식이 되어 끊어지기 직전 상태였습니다. 거기다 누수로 인해 감지기를 떼어내고 전선만 연결해 놓았던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당장에 고장신호는 없앨 수 있지만 감지기가 없는 상태여서 화재감지를 할 수가 없습니다. 

 

 

 

 

 

감지기를 재 설치하고 나니 이제 중계기 전원의 불빛이 정상 불빛으로 돌아온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화재감지기는 송배선식 방식에서 단선이 되면 모든 부분이 작동불능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 화재가 발생했을 때 멀쩡한 감지기라 하더라도 정상 작동하지 못하여 초기대처를 하지 못하게 됩니다.

 

감지기는 분명 출발지점이 있고 끝나는 지점이 있습니다. 단선신호가 떴을 때, 도면과 회로시험기를 통해 효율적으로 찾아나가는 방법을 미리 숙지하시어 업무에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